📌 모델 양자화(Model Quantization)란?

 

**모델 양자화(Quantization)**는 AI 모델의 연산 및 가중치를 낮은 비트 정밀도로 변환하여 연산 속도를 높이고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는 최적화 기법이야.

특히 모바일, 엣지 디바이스(CPU, TPU) 및 저사양 환경에서 AI 모델을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데 필수적이야.

 


1️⃣ 모델 양자화의 개념

 

딥러닝 모델은 기본적으로 32-bit (FP32, 부동 소수점) 연산을 사용해. 하지만 정밀도가 조금 낮아지더라도 더 작은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면 연산 속도가 빨라지고 메모리 소비가 줄어들어.

 

**양자화(Quantization)**는 모델의 가중치 및 연산을 FP16, INT8, INT4 등의 더 작은 숫자 표현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해.

기본 모델: FP32 (부동 소수점 32비트)

양자화 모델: FP16 (부동 소수점 16비트), INT8 (정수 8비트), INT4 (정수 4비트)

 


2️⃣ 모델 양자화의 주요 이점

1. 메모리 사용량 감소

FP32 → INT8 변환 시 모델 크기 4배 감소

모바일, 엣지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

2. 추론 속도 향상

정수 연산(INT8, INT4)은 부동소수점 연산(FP32)보다 훨씬 빠름

저사양 CPU에서도 딥러닝 모델 실행 가능

3. 배터리 효율 향상

낮은 비트 연산을 사용하면 전력 소모가 줄어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유리

 


3️⃣ 모델 양자화 기법

 

양자화 방식에 따라 정밀도와 속도 최적화 방식이 달라져. 주요 양자화 기법을 정리하면:

양자화 기법설명속도정확도 손실

사후 양자화 (Post-Training Quantization, PTQ) 훈련 후 모델을 정수(INT8)로 변환 빠름 낮음
훈련 중 양자화 (Quantization-Aware Training, QAT) 학습 과정에서 양자화를 고려하여 훈련 빠름 거의 없음
동적 양자화 (Dynamic Quantization) 가중치는 정수(INT8), 활성화 값은 FP32 유지 중간 낮음
가중치 전용 양자화 (Weight-Only Quantization) 가중치만 INT8로 변환, 활성화 값 유지 중간 낮음

 

 


4️⃣ 모델 양자화 방법

 

✅ 1. PyTorch를 이용한 동적 양자화 (Dynamic Quantization)

import torch
from transformers import AutoModel

# 기존 모델 로드 (예: BERT)
model = AutoModel.from_pretrained("bert-base-uncased")

# 동적 양자화 적용 (가중치만 INT8로 변환)
quantized_model = torch.quantization.quantize_dynamic(
    model, {torch.nn.Linear}, dtype=torch.qint8
)

# 양자화된 모델 저장
torch.save(quantized_model.state_dict(), "quantized_model.pth")

 

 


✅ 2. TensorFlow Lite를 이용한 사후 양자화 (Post-Training Quantization)

import tensorflow as tf

# 기존 모델 로드
model = tf.keras.models.load_model("model.h5")

# TFLite 변환기 사용
converter = tf.lite.TFLiteConverter.from_keras_model(model)
converter.optimizations = [tf.lite.Optimize.DEFAULT]  # 양자화 활성화
tflite_model = converter.convert()

# 모델 저장
with open("quantized_model.tflite", "wb") as f:
    f.write(tflite_model)

 

 


5️⃣ 양자화된 모델을 실행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 PyTorch 기반

torch.quantization 모듈을 이용한 INT8, FP16 양자화

torch.compile()을 통한 최적화 실행

 

📌 TensorFlow Lite (TFLite)

모바일 및 엣지 디바이스에서 AI 모델을 가볍게 실행

TFLiteConverter를 사용해 양자화 모델 변환 가능

 

📌 ONNX Runtime (ORT)

onnxruntime.quantization.quantize_dynamic() 함수로 INT8 모델 변환

CPU에서 빠른 추론 가능

 

📌 GGUF (GGML Unified Format)

Llama.cpp 같은 CPU 기반 LLM을 최적화할 때 4-bit/8-bit 양자화 적용 가능

 


✅ 결론

1. **모델 양자화(Quantization)**는 AI 모델의 연산 속도를 높이고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이야.

2. INT8, INT4 같은 낮은 비트 표현을 사용하면 속도가 빨라지고 경량 디바이스에서도 실행 가능해.

3. PyTorch, TensorFlow Lite, ONNX Runtime 같은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면 쉽게 양자화된 모델을 생성할 수 있어.

4. 딥러닝 모델을 모바일, 엣지 디바이스 또는 CPU에서 최적화하여 실행할 때 필수적인 기술! 🚀

 

➡️ 만약 특정 모델을 양자화하는 방법이 필요하면 알려줘! 😊

반응형

'Analytics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LM  (0) 2025.03.11
GGUF 모델  (0) 2025.03.11
GGUF란  (0) 2025.03.11

+ Recent posts